①기본정신
일반적 예의 범주와 다를바 없으며 타인에게 직접 또는 간접으로도 피해와 혐오감을 주는 행위는 삼가하고 겸손과 양보의 미덕으로 서로 협조하며
소속팀 내에서는 자기의 입장에 알맞는 언행을 취하며 특히 자연에 대한 진지하고 겸허한 자세를 가져야 한다.
②복장
산이 산악인의 생(生)의 도장(道場)이고 수련장과 같다면 복장은 산악인에 있어서는 도복과도 같은 것이다.
③장비
학문하는 사람이 책을 아끼고 음악하는 예술인이 명기를 아끼듯 산악인은 장비를 소중하게 애착을 갖고 명기를 다루듯 해야 한다.
그리고 산행에 앞서 반드시 점검하고 보수,보완하여야 한다.
④자연보호 정신과 국토를 사랑하는 정신
국토를 아끼고 자연을 소중히 함은 곧 애국의 근본이다.
자연보호운동에 솔선하여 실천하고 계도하며 체질화 함이 중요하다.
⑤품위 자연에 대한 겸손하고 상호협조
양보하고 리더에 순종하며 불필요한 언행을 삼가하고 불필요한 차림이나 장비를 메고 시내를 활보하거나 은근히 과시하며 남에게 혐오감을 주어서는 안되겠다.
⑥산행중 또는 막영장에서 유의사항
①자기 능력에 무리한 코스를 택하는 것은 만용이며 등산윤리에 어긋남
②불필요한 장비를 휴대하여 과시하거나 필요장비를 휴대하지 않는 행위
③장비와 식량은 소중히 알맞게 준비하여 낭비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④차안에서는 조용히 질서를 지킨다.(라디오, 녹음기, 기타, 노래소리)
⑤사찰이나 사적지에서는 경건한 예의를 표시한다.
⑥산행중 만난 사람은 서로 먼저 인사를 한다.
⑦고상한 언어를 사용하고 이성간의 예절은 더욱 중요하다.
⑧암장에서 시끄럽게 하거나, 자일을 밟거나 남의 장비에 의지하거나 남의 코스 를 추월하거나 확보자가 딴전을 피우는 행위는 삼가할 것
⑨기본장비, 식량(주,부식 및 간식)등이 없어 남의 신세를 지는 행위는 삼가 할 것(진정한 자존심과 긍지를 생각해 봐야 한다.)
⑩산행중 남의 물통 신세는 져서는 안된다.(산행계획,리듬을 깨뜨림)
⑪피곤할 때 일수록 힘든일을 솔선수범할 것
⑫야영지를 양보할줄 아는 미덕을 가지자.
⑬팀에 최대한 협조와 기여를 한다.
⑭흔적을 남기지 말것(쓰레기는 배낭 속에 추억은 가슴 속에) 등산의 심도는 단순한 재주나 능력이 아니라 산과 더불어 어우러지는 언행의 표현이다.
⑦산악회의 회원 상호간의 호칭
①.연령, 산악회 위치에 어울리는 호칭을 사용=>상호존중
②준회원이나 상호 활동기간이 짧으면 경어 사용
③정회원은 가족과 같은 분위기로 호칭 사용
④임원진은 임원의 직책명칭:회장님, 총무님, 등반대장님
⑤15세 이상의 연장자: 선배님
⑥2~3년 이상의 연장자:○○형, 형님
⑦1~2년 사이:○○형, 협의시 동료로 이름, 경어 또는 평어 사용
⑧후배:이름(공식 석상에서 별명을 부르지 말 것).평어 사용
2012.09.
Osennyaya Pesnya(가을의 노래)
Anna German(안나 게르만)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산.설악산.한라산]산행 지도 (0) | 2013.05.20 |
---|---|
하산시 요령 (0) | 2012.09.06 |
산행중 물 마시는 방법 (0) | 2012.09.06 |
등산용어 정리 (0) | 2012.09.06 |
계절별 산행지 (0) | 2012.09.06 |